본문 바로가기
기후변화

제10차 세계 물포럼: 주요 내용과 의미

by 주작가 깐돌 2024. 5. 19.
반응형

발리에서 열린 제10차 세계물포럼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한국, 중국, 일본의 수자원 관리 정책과 인프라 개발에 대한 협력에 대해 집중 조명합니다.


가뭄으로 말라붙은 인도 남부 카르나타카주 벵갈루루의 한 호수 바닥에 한 남성이 앉아 있다. 이미지출처: 연합뉴스



글을 시작하며,



발리에서 열린 제10차 세계물포럼은 한국, 중국, 일본을 비롯한 글로벌 리더들이 모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수자원 관리와 인프라 구축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합니다. 이 블로그는 포럼의 주요 내용, 주요 논의 사항 및 예상 결과에 대해 다루며, 글로벌 물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제10차 세계물포럼: 글로벌 물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의 장


발리에서 열린 제10차 세계물포럼은 20일부터 24일까지 전 세계 수자원 관리 전문가들과 정책 입안자들이 모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였습니다. 특히, 한국, 중국, 일본의 협력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었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포럼의 주요 내용과 한국의 역할, 그리고 국제 협력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한·중·일 수자원 장관회의


행사 첫날인 20일에는 제4차 한·중·일 수자원 장관회의가 열렸습니다. 우리나라 환경부, 일본 국토교통성, 중국 수리부의 수장이 참여해 공동선언문을 도출할 것으로 기대되었습니다. 이번 선언문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탄력적인 물 기반시설(인프라)을 구축하기 위한 각국의 주요 물관리 정책과 기술을 공유하며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이 주된 것이었습니다.

반응형

기후변화 대응 및 인프라 구축


이번 포럼의 주제인 ‘공동번영을 위한 물(Water for Shared Prosperity)’에 맞춰,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물 관리 정책과 인프라 구축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졌습니다. 각국 대표들은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과 홍수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들을 공유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국제적인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한국의 역할과 기여

 

정부 대표단의 참여


우리나라는 환경부 물관리정책실장을 대표로 서울시와 대구시 등의 지방자치단체,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 한국물기술인증원,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한국물산업협회 등 다양한 기관들이 포럼에 참여했습니다. 이들은 한국의 선진 수자원 관리 기술과 정책을 공유하며,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대한민국관 운영


환경부는 세계물포럼 기간 중 대한민국관을 운영하며,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메콩강위원회 등과 함께 물 분야에서 국제 협력을 확대하고 개발도상국의 물 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공동 연구를 지속하는 내용의 양해각서를 체결했습니다.


국제 협력의 중요성


박재현 환경부 물관리정책실장은 "세계물포럼 참여를 통해 국제사회와 물 분야 협력을 강화해 전 세계 물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포럼은 글로벌 물 문제 해결을 위해 각국이 협력하고 기술과 정책을 공유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글을 마치며,


제10차 세계물포럼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협력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자리였습니다. 특히, 한국, 중국, 일본의 협력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도 이러한 국제 협력이 지속되어 글로벌 물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번 포럼을 통해 도출된 선언문과 협력 방안들이 실제로 실현되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탄력적인 물 관리 시스템이 구축되기를 기대합니다.

2024.05.11 - [기후변화] - 여름철 물 부족 이해하기: 기후 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

 

여름철 물 부족 이해하기: 기후 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

이제 본격적인 2024년 여름을 앞두고 있습니다. 모두가 예상하는 폭염, 열대야 등 고온 여름 날씨 외에도 많은 지역에서 겪을 물 부족 현상은 기후 변화의 직접적인 결과입니다. 물 부족 현상은

goodson.tistory.com

2024.05.14 - [기후변화] - 싱가포르 NEWater(뉴워터)기술: 지속 가능한 물 관리의 혁신적 접근 방식

 

싱가포르 NEWater(뉴워터)기술: 지속 가능한 물 관리의 혁신적 접근 방식

싱가포르의 NEWater 기술은 가뭄과 심각한 물 부족 상황에서 어떻게 지속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수자원을 제공하는지 보여주는 글로벌 모범 사례입니다. 오늘은 싱가포르 국영 NEWater에 대해서

goodson.tistory.com

2024.05.18 - [기후변화] - 2024년 여름 가뭄 얼마나 심할까?: 기후 변화의 영향과 대처 방안"

 

2024년 여름 가뭄 얼마나 심할까?: 기후 변화의 영향과 대처 방안"

2024년 여름, 한국은 예년보다 심각한 폭염이 외에도 가뭄을 겪을 가능성이 큽니다. 기후 변화가 어떻게 이러한 가뭄을 유발하고 있으며, 우리는 이에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2024

goodson.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