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후변화

소고기 1근의 탄소배출량은 180km 자동차 주행과 같다?!

by 주작가 깐돌 2024. 5. 11.
반응형


소고기 한 근(약 600g)을 생산하는 데는 대략 36kg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됩니다. 이는 매우 높은 수치로, 소고기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온실 가스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보여줍니다. 소를 키우기 위해 필요한 사료의 재배, 수송, 그리고 소 자체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가 이러한 배출의 주요 원인입니다. 오늘은 소고기의 탄소배출량과 생활 속 일상 활동의 탄소배출량과 비교를 통해 그 수치의 심각성을 같이 공감하고자 합니다.

소고기 1근의 탄소배출량은 약 36kg CO2. 이미지출처:픽사베이

 

소고기 Vs 일상 활동


소고기 한 근의 탄소비용을 우리의 일상 활동과 비교해 보면 이해가 더 쉬워집니다. 다음은 36kg의 탄소 배출량을 일상적인 활동과 비교한 예시입니다:

1. 자동차 운행: 평균적인 가솔린 자동차는 1km 당 약 0.2kg의 CO2를 배출합니다. 따라서 36kg의 CO2는 자동차로 대략 180km를 운행하는 것과 동일한 탄소 배출량을 가집니다.

2. 전기 사용: 한국에서의 전기 사용으로 인한 탄소 배출량은 kWh 당 평균적으로 약 0.4kg CO2입니다. 이에 따르면 36kg의 CO2는 약 90 kWh의 전기 사용과 동일합니다. 이는 평균 가정에서 약 3~4일간 사용하는 전기량입니다.

반응형


3. 비행기 여행: 국내 비행(예: 서울에서 제주)은 한 사람당 약 100kg의 CO2를 배출합니다. 36kg의 CO2는 이 비행 거리의 약 36%에 해당하는 탄소 배출량입니다.

4. 난방 사용: 일반적인 가정에서 사용하는 난방 기기는 가스나 전기를 사용하여 CO2를 배출합니다. 예를 들어, 평균적인 가정의 가스보일러는 시간당 약 2.5kg의 CO2를 배출합니다. 따라서 36kg의 CO2는 대략 14시간 동안 집을 따뜻하게 하는 것과 맞먹습니다.

5. 대중교통 이용: 버스나 전철과 같은 대중교통수단 역시 CO2를 배출합니다. 서울의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버스 한 대가 한 시간 동안 운행하며 약 1.5kg의 CO2를 배출한다고 할 때, 36kg의 CO2는 대략 24시간 동안 버스 운행과 같은 양의 탄소를 배출합니다.

6. 쓰레기 처리: 일반 가정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소각하는 과정에서도 CO2가 발생합니다. 평균적인 가정 쓰레기 1톤을 소각할 때 약 1.4kg의 CO2가 발생하므로, 36kg의 CO2는 약 25톤의 가정 쓰레기를 소각하는 것과 동일합니다.


글을 마치며,


소고기 한 근의 탄소비용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더 의식적인 선택을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우리의 선택이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하고, 책임감 있는 소비자가 되어야 할 때입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우리는 일상에서 보다 지속 가능한 선택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식단에서 육류의 소비를 줄이고, 식물 기반의 대안을 포함시키는 것이 탄소 발자국을 줄이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