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후변화

한국 농업 현황과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개선 방안

by 주작가 깐돌 2024. 6. 14.
반응형

한국 농업의 역사와 현재 상황을 조명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개선 발전 방안을 제시합니다.

토마토 과수원의 수확하는 모습. 이미지출처:픽사베이



글을 시작하며,

한국 농업의 역사와 현황


한국 농업은 오랜 세월 동안 많은 변화를 겪어왔습니다. 1945년 광복 이후, 한국은 여러 시련을 이겨내며 농업 발전을 이루어냈죠. 특히 1960년대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함께 산업화,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농업 인구는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1970년에는 전체 인구의 45.9%가 농업에 종사했지만, 2023년에는 이 비율이 4%로 줄었습니다. 또한, 농업 인구의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경지 면적 역시 2023년에는 151만2145㏊로, 1975년에 비해 크게 감소했습니다.


1. 농업 기계화와 생산성 향상


1962년 이후 다양한 농기계의 도입으로 농업 기계화가 이루어졌습니다. 벼농사와 밭농사의 기계화율이 크게 증가하면서 노동 시간 절감과 생산성 향상이 가능해졌습니다. 2023년 기준, 노동 생산성은 1970년에 비해 143배, 토지 생산성은 79배 증가했습니다.


2. 농축산물 생산의 변화


국민 소득 증가와 함께 채소, 과일, 축산물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생산이 확대되었습니다. 1970년 이후 채소와 과일의 생산액이 크게 증가했으며, 축산물 생산액도 급성장했습니다. 반면, 식량 작물의 생산 비중은 감소했습니다.


반응형

 

3. 농산물 수입 증가와 식량 자급률 하락


1970년대 후반부터 농산물 수입 제한이 완화되었고, 1993년 UR 협상 타결 이후 시장 개방이 본격화되었습니다. 2022년 농림축산물 수입액이 급증하였고, 곡물 자급률과 식량 자급률은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우선 개선 사항

 

1. 고령화 대응 및 청년 농업인 육성


고령화 문제는 농업의 지속 가능성에 심각한 위협이 됩니다. 2023년 기준, 한국의 농업 인구 중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45%에 달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 농업인의 유입을 촉진하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일본의 사례를 보면, 청년 농업인에게 창업 지원, 금융 지원,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성공적으로 농업 인구의 젊은 층을 확보한 바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농촌 생활의 매력을 높이는 인프라 개선과 함께 이러한 지원 정책을 강화해야 합니다.


2. 농업 기술 혁신과 스마트 농업 도입


기존 농업 방식으로는 기후 변화와 같은 새로운 도전에 대응하기 어렵습니다. 스마트 농업 기술, 예를 들어 드론을 이용한 작물 관리, IoT 기반의 환경 모니터링, 인공지능을 활용한 농업 데이터 분석 등은 생산성을 높이고 자원 관리를 효율화할 수 있습니다. 네덜란드의 경우, 스마트 농업 도입으로 전통 농업 국가에서 세계적인 농업 기술 선도국으로 변모했습니다. 한국도 이러한 기술을 적극 도입하여 생산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야 합니다.



3.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환경 보호


지속 가능한 농업은 환경 보호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화학 비료와 농약 사용을 줄이는 것은 토양과 수질 오염을 방지하고, 장기적으로 농업 생산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독일의 경우, 친환경 농업을 확대하여 화학 비료 사용을 줄이고,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는 농업 방식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한국도 토양, 수질 보호를 위한 농업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친환경 농업을 적극 지원해야 합니다.


4. 식량 자급률 향상을 위한 전략


한국의 식량 자급률은 매우 낮습니다. 이는 식량 안보에 큰 위협이 됩니다. 2022년 기준, 곡물 자급률은 21%로 떨어졌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요 곡물의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국내 생산 기반을 강화해야 합니다. 프랑스의 사례를 보면, 농업 보조금 정책과 함께 재배 기술 개발, 저장 및 유통 시스템 개선을 통해 식량 자급률을 높이고 있습니다. 한국도 이러한 전략을 도입하여 식량 안보를 강화해야 합니다.


5. 농산물 유통 및 가격 안정화


농산물의 유통 경로를 단순화하면 농가 소득을 증대시키고 소비자 가격을 안정화할 수 있습니다. 현재 한국의 농산물 유통 구조는 복잡하여, 중간 유통 단계에서 가격 상승이 발생합니다. 미국의 사례를 보면, 유통 경로를 단순화하고 직거래를 활성화하여 농가 소득을 증대시키고 소비자 가격을 안정화한 바 있습니다. 한국도 이러한 유통 구조 개편을 통해 가격 안정 기금 마련과 계약 재배 확대를 고려해야 합니다.



6. 농촌 지역사회 활성화


농촌 지역사회의 활성화는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교육, 의료, 문화 등의 기반 시설이 부족하면 청년 농업인이 농촌에 정착하기 어렵습니다. 일본의 사례를 보면, 농촌 지역사회의 활성화를 위해 교육, 의료, 문화 시설을 확충하고, 농촌 관광과 같은 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하여 농촌 경제를 다각화했습니다. 한국도 이러한 기반 시설을 확충하고 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해야 합니다.


글을 마치며,


한국 농업의 역사와 현황을 이해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우리가 어떤 개선 방안을 추진해야 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이러한 노력이 한국 농업의 밝은 미래를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