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모두가 이미 알고 있듯이 기후 변화는 우리의 대기뿐만 아니라 해양에도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MBC 뉴스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한국 해역에 아열대 해수의 침투 속도가 급격히 가속화되고 있다고 합니다. 해수면 온도가 오르는 것도 문제이지만 이번에 주목한 더 큰 문제는 이 빠른 변화가 우리 바다의 기초 생산력을 감소시켜 해양 생태계의 안정성과 해양 생물의 생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아열대 해수의 침투가 영향을 주는 우리에게 생소한 바다의 ‘기초 생산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04.01 - [기후변화] - 엘리뇨와 라니냐 현상이 한국 여름 날씨와 농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엘리뇨와 라니냐 현상이 한국 여름 날씨와 농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근 몇 년간 여름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무더위, 때때로 우리는 과거에 경험하지 못한 더 심한 폭염 더위나 예상치 못한 잦고 엄청난 비로 예상치 않은 큰 피해를 얻고 있습니다. 그거 아세요?
goodson.tistory.com
글을 시작하며,
기후 변화는 단순히 우리의 대기를 따뜻하게 하는 것 이상의 변화를 우리 바다에도 가져오고 있습니다. 최근 MBC 뉴스 보도에 따르면, 아열대 해수의 침투 속도가 과거 10년 전에 비해 두 배 이상 빨라졌으며, 이는 우리 바다의 '기초 생산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기초 생산력이란?
바다의 식물성 플랑크톤이 광합성을 통해 유기물을 생성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 능력이 강력할수록 바다 생태계는 더 건강하며, 다양한 해양 생물들이 번성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보도에 따르면, 최근 10년 간 이 지표인 엽록소가 크게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남해 동부와 동해 북부 해역에서 심각한 감소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초 생산력의 급감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지만, 가장 큰 원인은 해수의 성층화 때문입니다. 성층화란 수온 상승으로 인해 바닷물의 상층과 하층이 잘 섞이지 않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상층의 바닷물이 가벼워지고 하층의 차고 무거운 바닷물과 섞이지 않게 되면, 필수 영양소인 질산염과 인산염이 상층에 도달하는 것이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식물성 플랑크톤은 필요한 영양소를 얻지 못하고 성장할 수 없게 되며, 이는 전체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이는 우리나라 바다의 수산자원량 감소로 이어지며, 수산업에 큰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를 감시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와 투자가 필요합니다. 우리 바다의 미래와 수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기후 변화에 따른 해양 환경의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글을 마치며,
기후 변화는 우리 바다의 기초 생산력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으며, 이는 국가적 차원의 관심과 대응을 요구하는 중대한 문제입니다. 해양과 기후 전문가들은 이 문제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정부와 지자체, 민관과 함께 효과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2023.12.01 - [기후변화] - 바다 한가운데 쓰레기섬에 해안생태계가 생겼다고? - 심각한 해양 플라스틱 오염
바다 한가운데 쓰레기섬에 해안생태계가 생겼다고? - 심각한 해양 플라스틱 오염
오늘은 올여름에 CNN에서 보도한 뉴스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바로 태평양 쓰레기섬에 관한 이야기인데요, 이 쓰레기섬이란 태평양 중앙에 떠다니는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모여서 만든 거대한 섬,
goodson.tistory.com
블로그 인기글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UN SDGs)와 연계한 기업 마케팅 사례(3)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는 17가지 목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세계적으로 통합되고 모든 국가에 적용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목표들은 국가의 현실과 역량을 고려하며 경제, 사회, 환경 등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고 있습니다. 지난 글에서 다룬 목표 1, 빈곤퇴치~ 목표 12,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에 연계된 기업 마케팅 사례를 알아보았습니다. 이번글에서는 뒤이어 목표 13,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에서 목표 17, 지속가능한 소비와 패턴 보장에 연계된 기업 마케팅 사례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UN SDGs)와 연계한 기업 마케팅 사례 SDG 13. 기후변화에 대한 행동 SDG 13은 기후변화에 대한 담대한 ..
goodson.tistory.com
탄소배출량은 어떻게 인증하고 계산하는가?
글을 시작하며 탄소배출량은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의 중요한 원인입니다. 탄소배출량을 어떻게 측정하는지 알아보고, 국제 표준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탄소배출의 종류 직접 배출(Direct Emissions): 화석 연료 연소나 제조 공정에서 직접 발생 간접 배출(Indirect Emissions): 전력 사용이나 상품과 서비스의 제조에서 발생 임베디드 배출(Embedded Emissions): 제품이나 서비스의 생애 주기 전반에 걸친 배출 2023.11.21 - [분류 전체보기] - 탄소배출권 개요와 역할 탄소배출권 개요와 역할 탄소배출권 개요 및 역할 탄소배출권(Carbon Credit)은 탄소배출 허용량의 한 단위로, 1톤의 이산화탄소(CO2) 또는 이와 동등한 양의 다른 온실가스를 배..
goodson.tistory.com
'기후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태그플레이션과 기후 변화: 지속 가능성 노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0) | 2024.04.26 |
---|---|
한국 기후소송의 세계적 맥락: 글로벌 사례를 통해 본 기후정의의 움직임 (0) | 2024.04.24 |
캐나다 탄소세 환급제도: 환경 보호와 경제적 혜택의 균형 (2) | 2024.04.18 |
2024년 3월, 텍사스의 태양광 에너지, 석탄을 넘어서다: 청정 에너지의 이정표 (1) | 2024.04.17 |
태양광도 구독 서비스 시대!: 솔라멘트(SolarMente) (1) | 2024.04.13 |